엘피리틀에이(Lp(a))란? 심혈관질환의 숨은 위험 요인
엘피리틀에이(Lp(a))란? 심혈관질환의 숨은 위험 요인 혈액검사에서 흔히 보는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외에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Lp(a) , 즉 리포단백(a) 입니다. ‘엘피리틀에이’로 읽히는 이 물질은 심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일반적인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어도 Lp(a)가 높다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Lp(a)의 구조와 특징 Lp(a)는 기본적으로 LDL(저밀도지단백) 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LDL 입자에 아포단백(a) [apolipoprotein(a)] 가 결합된 형태로, 이 아포단백(a)은 혈액 내에서 응고 및 염증 과정 에 관여합니다. 즉, Lp(a)는 단순한 콜레스테롤 수송체를 넘어 혈전 형성 과 죽상경화증 촉진 에 직접적인 역할을 합니다. Lp(a)의 유전적 요인 가장 중요한 점은 Lp(a) 수치가 거의 전적으로 유전적 으로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부모 중 한쪽이라도 Lp(a)가 높으면 자녀도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식이요법이나 운동만으로는 수치를 크게 낮추기 어렵고, 개인 간 차이가 매우 큽니다. 일반적으로 혈중 Lp(a) 농도는 생애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 됩니다. Lp(a)와 심혈관질환의 관계 다수의 연구에서 Lp(a)가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근경색, 협심증, 대동맥판막협착증 등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Lp(a)는 두 가지 주요 기전을 통해 심혈관질환을 유발합니다. 죽상경화 플라크 형성 촉진: Lp(a)는 산화되기 쉬운 LDL 입자와 유사해 동맥벽에 쉽게 침착됩니다. 이로 인해 혈관 내벽이 손상되고, 염증반응이 유도됩니다. 혈전 생성 증가: 아포단백(a)는 플라스미노겐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피브린 분해(혈전 용해)를 방해 합니다. 결과적으로 혈전이 쉽게 생기고,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Lp(a) 정상 수치와 검사 기준 ...